최종 기준금리 3.5% 예상, 한은 이창용 총재 “11월 추가 빅스텝은…”

Photo of author

By 뉴스피드

 

최종 기준금리 3.5% 예상, 한은 이창용 총재 경재 어려워도 금리 인상

물가 중심으로 경제 운영, 금리 인상 불가피

11월 추가 빅스텝, 미 물가 고려해 결정

물가 5% 아래로 내려가더라도 바로 인하 안해

 

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(이하 금통위) 정례회의 직후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“최종 기준 금리를 3.5% 수준으로 본 시장 기대에 대부분의 금통위원이 같은 견해를 가지고 있다. 경기 침체 우려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5% 아래로 내려갈 때 까지 금리인상 기조를 시족하겠다”라며 “다만 더 낮게 보는 위원도 있는 만큼 11월 빅스텝은 상황을 고려”하겠다고 밝혔다.

 

한은은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2.5%에서 연 3.0%로 0.5%p 인상했다. 지난 7월에 이어 두 번째 빅스텝을 밟은 것이다.

올해만 들어 총 5차례 금리를 인상한 한은은 결국 3.0%대까지 기준금리를 올리게 됐는데, 이는 지난 2012년 10월 이후 10년만에 처음이다.

이 총재는 “원화가 급격하게 절하된게 이번 기준금리 인상의 주요 요인 중 하나”라며 “원,달러 환율 정하가 당연히 수입물가를 올려서 물가상승률이 피크를 찍은 다음에 떨어지는 경로를 생각했는데 그 예상 경로보다 물가상승률이 지속돼 그에 대해 대응한 것”이라고 밝혔다.

 

기준금리 인상, 거시경제 전체 안정에 기여

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이 주택 가격 하향하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해 “부동산은 지난 1~8월 실거래가 기준 3~4% 정도 떨어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. 금리가 올랐으니 추가 하락 가능성도 있고 한 편으로 보면 부동산 가격이 내려갔으니 빚을 내 집을 산 많은 국민이 고통받는 것도 사실이다”며 “많이 고민했지만 반대로 보면 지난 2~3년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르고 가계부채가 늘어 금융불안의 원인이 됐다. 이번 금리 인상에 따른 부동산 가격, 가계부채 증가율 조정이 국민들에게 고통을 줄 수도 있어 죄송한 마음이지만 거시 경제 전체로는 안정에 기여하는 면도 있다고 생각한다”고 답했다.

결국 이자 비용 상승이 인플레이션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‘시차를 두고 물가 낮출 것’으로 본다는 의견을 함께 내비치기도 했다.

 

경기 침체 우려되더라도 물가 5% 아래로 내려갈 때 까지는 금리 인상 기조 계속 

이총재는 “내년 1분기까지는 5~6%대 물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, 물가가 5%를 상회하면 수요든, 공급이든 경기 희생을 하든 관계없이 물가 중심으로 경제 정책을 할 수 밖에 없다”며 “높은 물가는 기대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더 나쁜 영향까지 줄 수 있다”라고 밝혔다.

더불어 “물가가 5%보다 조금 떨어져도 바로 금리를 인하하거나 하지 않을 것”이라며 금리 상승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밝혔다.

 

취약계층, 다중 채무자 등은 정부와 머리를 맞대야

이 총재는 기준 금리 인상으로 인해 가계와 기업을 합해 12조 2천억 원 가량이 늘어날 것으로 추산되며 취약계층이나 다중 채무자, 부동산 쪽에 빚투한 젊은 신혼가구 등은 빠른 금리 인상 속도에 고통이 클 수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진 않았다.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물가를 잡는 것이 우선돼야 할 것이며 물가를 잡은 이후 성장 정책으로 전환하는게 맞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.

이어 취약차주의 연간 부담이 26만 5000원 올라간다는 계산도 있는데 취약차주가 그 부담을 감수할 정도로 보냐는 질문에 대해 “이 부분은 정부와 한은이 협조를 해야 할 것 같다”고 밝혔다.

이번 금리 인상에 대해서 네티즌들은 “결국 빚낸 것도 자신의 의지고 결정이었으니 책임도 스스로 져야한다” “그러게 누가 빚내라고 했냐? 전문가들은 계속 경고했다. 금리 더 올려야 된다. 자이언트 스텝도 가야할 것”이라는 의견을 비치는 측과 “저렇게 되면 개인만 문제가 아니라 기업들 싹 다 도산이다”, “무조건 올리면 나라 망한다. 적당히 조절해야한다”는 의견으로 나뉘어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.

 

 

 

댓글